실습후기

[연구 실습] Risk of Bias 평가하기

큐울큐울 2021. 8. 1. 14:13

meta-analysis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에 사용할(?) 논문들의 질평가를 해야하는데, 연구 모델마다 적용하는 평가 기준이 다르며, 평가 후 한눈에 보기 좋게 신호등, 별표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연구 전체로 보면 이 질평가는 그렇게 까지 중요한 요소는 아니라고 하는데, 나는 잘 몰라 이리 저리 헤매고, 고생하며 시간낭비를 조금 한듯하다.

 

< 내가 RoB 평가할 때 힘들었던 부분>

1. RCT, Case-control, cohort 마다 평가 기준이 달라야 하는데, 이 평가 template를 찾는 것이 힘들었다.

-> 내가 아는 선에서 정리함

 

2. 죄다 영어로 되어 있어 해석이 되지만, 질문의 의도? 모범 답안을 찾기 힘들었다.

-> 평가 기준 다운받을 때, 이에 대한 설명도 함께 다운 받으면 된다. 물론 영어로 되어있음^^ 

 

 


1. 연구 모델마다 다른 평가 기준, 어떻게 하나?

-> Randomize여부, intervention여부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 해야 하는데,

 

1) RoB 2 tool

-> 무작위 배정, 즉, randomized trial에 대한 평가 이다.

Risk of bias tools

 

Risk of bias tools

Welcome to our pages for risk of bias tools for use in systematic reviews. RoB 2 tool (revised tool for Risk of Bias in randomized trials) NEW! ROB ME (Risk Of Bias due to Missing Evidence in a synthesis) ROBINS-I tool (Risk Of Bias in Non-randomized Studi

www.riskofbias.info

-> visualization: Robvis를 구글링 하거나, 아니면 위의 사이트에 함께 정리되어 있으니 링크를 통해, instruction대로 하면 한눈에 보기 쉬운 그림 한장을 만들 수 있다.

 

2) ROBINS-1 tool

-> Intervention이 있는, non-randomized trial에 사용된다. 위의 www.riskofbias.info 에서  template과 설명, visualization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3) Newcastle-Ottawa Scale

-> case control과 cohort study를 위한 평가 기준. 각 연구모델별 평가 기준과 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Ottawa Hospital Research Institute (ohri.ca)

 

Ottawa Hospital Research Institute

The Newcastle-Ottawa Scale (NO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nonrandomised studies in meta-analyses GA Wells, B Shea, D O'Connell, J Peterson, V Welch, M Losos, P Tugwell, Nonrandomised studies, including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can be challengin

www.ohri.ca

-> visualization: 1), 2)가 신호등처럼 나타낼 수 있었다면, 요기선 해당 criteria에 해당되면 별표, 이 별표를 모아 각 논문 별 별표가 몇개인지로 표시!

예)

내가 한거 캡쳐본. google이미지에 더 fancy한 table이 많습니다.

 

 

+ Revman

: meta분석을 위한 software프로그램으로 RevMan이라는 것이 있던데, 시도해 보았지만, 왜인지 instruction대로 파일 변환을 해도 논문 업로드가 안됨... 그래서 포기,,,, 연구 시작부터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장점도 많을 듯 하니 검색해서 한번 확인 ㄱㄱ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