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zard ratio
: 두 그룹 간 이벤트(질병, Hazard)이 발생할 확률 비교함
즉, (처리 시 질병 발생 확률)/ (처리X시 질병 발생 확률)
-> 만약 Hazard Ratio = 0.66 이라변, 처리시 질병 발생 확률이 34%감소함을 의미한다.
-> 확인 point: 각 group에서 질병이 발생한 정도/ 각 group에서의 처리 정도 차이(예. 처리: chilli pepper일때 각 군의 섭취 정도)/ time period
2. Odds Ratio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ixKhS0Silb4)
cannabis | cannabis X | cannabis 사용% | odds | |
depressed | 34 | 187 | 15% | 34/187 = 0.182 |
not depressed | 132 | 2,366 | 5% | 132/2366 = 0.056 |
odds ratio | 0.182/0.056 = 3.3 |
-> out of 100 US adults who are not depressed, we would expect around 5 to use cannabis daily
-> out of 100 US adults who are depressed, we would expect around 15 to use cannabis daily
3. Relative Risk
총 인원 | 질병 발생 | risk | risk ratio(relative risk) | Odds | Odds Ratio | Risk difference | |
intervention | 10 | 2 | 2/10 | (0.2)/(0.4) = 0.5 | 2/(10-2)=0.25 | 0.25/0.67 = 0.37 | 0.2-0.4= -0.2 |
control | 10 | 4 | 4/10 | 4/(10-4)=0.67 |
-> intervention시 질병 발병 위험이 50% 감소한다.
-> intervention시 odds 발생 확률이 63%줄어든다.
-> intervention시 risk가 20 percentage point 감소한다.
'실습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이드라인 정리) 전년도 가이드라인 VS 최신 가이드라인 정리 팁 (0) | 2021.08.02 |
---|---|
[연구 실습] Risk of Bias 평가하기 (0) | 2021.08.01 |
임상논문 연구모델 한줄 정리(RCT, Cohort, Meta, systemic review, long-term-extension..) (0) | 2021.06.23 |
Case-Control Study VS Cross-sectional study (0) | 2021.06.22 |
연구 실습 - 내가 진행 중인 주제와 거의 같은 주제의 논문 발견! (0)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