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후기

실습- 연구심화실습, 당뇨병 공부-1

큐울큐울 2021. 4. 28. 13:41

현재 조사하고 작성할 논문의 주제가 당뇨병에 관한 것이기에,,,, 약물치료학과 약물학 공부를 게을리한 죄인 약대6학년은 다시 당뇨병 공부를 한다.

 

체계적으로 A to Z로 정리한다기 보다는 그때 그때 공부한 것을 메모한다는 개념으로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1. Glycemic Index(GI)

:  50g의 순수 포도당을 수치100으로 하여 50g의 해당 식품 섭취시 혈당이 상승되는 정도를 0부터 100까지 메긴 숫자점수(?)

-> 55이하일 경우 low/ 70이상일 경우 high로 간주한다.

-> 일반적으로 식품이 요리되고 가공될 수록 높고, 지방과 섬유소가 풍푸할 수록 낮다.

 

2. Glycemic Load

: GI개념에 '한번 먹는양, g'의 개념을 더한 것. GI보다 정확하고 현실적인 지표임. 예를들어, 수박의 GI는 5정도로 낮지만(50 g에 포함된 탄수화물 양이 극히 적음), per serving의 개념을 도입하면 급격히 상승!한다.

-> 10이하일 경우 low/ 20이상일 경우 high로 간주한다.

 

 cf) the FDA considers a drop in HbA1c of as little as 0.4 of a percentage point to be meaningful when assessing drugs to treat diabetes.